본문 바로가기
웹개발/Springboot

HTTP 메서드 - 기초

by HoPpangg 2021. 6. 24.
SMALL

지난 게시물에서 배운 HTTP 메서드를 써봅시다.

HTTP 메서드에 관련해서 알고 싶다면 지난 게시물을 봐주세요.

지난번에 사용했던 TestController 클래스를 재활용합니다.

클래스에 대한 내용은 아래 게시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TestController를 이렇게 수정해줍니다.

이렇게 수정하고 클래스를 저장하면 오류가 납니다.

이렇게 오류가 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유는 같은 annotation에 같은 주소로 설정해서 그렇습니다. 접근하려고 할 때 같은 주소라면 어디로 접근해서 어떤 메서드를 실행해야 할지 컴퓨터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get 메서드에는 @GetMapping / post 메서드에는 @PostMapping / put 메서드에는 @PutMapping / delete 메서드에는 @DeleteMapping annotation을 달아줍니다.

이렇게 수정하고 나서 저장을 하면 더이상 오류가 나지 않습니다.

annotation에 달린 주소가 같더라도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HTTP 메서드 방식에 따라 알맞는 메서드가 실행됩니다.

그럼 잘 설정 됐나 확인하기 위해 웹브라우저에서 접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접근을 하면 get이라는 return 값을 볼 수 있습니다.

왜 get만 나오는걸까요?

이유는 웹브라우저에서 주소창을 통해 오는 요청은 GET 방식이기때문입니다.

그렇다면 POST, PUT, DELETE를 확인하기 위해서 postman을 깔아주도록 합니다.

postman 설치법 및 workspace 생성 방법은 아래 게시물을 확인해주세요.

주소를 입력하고 Send를 눌러보면 아래에 get이 출력됩니다. 잘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소입력란 왼쪽에 있는 아래꺽새를 클릭해 메서드 방식을 바꿔주며 확인해봅니다.

모두 잘 작동합니다.

 

728x90
LIST

'웹개발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메서드 - POST  (0) 2021.06.24
꼭 알아야하는 HTTP method  (0) 2021.06.23
[Spring] 시작하기 (RestController / GetMapping)  (0) 2021.06.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