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클릭을 눌러 New - Spring Starter Project를 눌러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
이름을 정하고, Packaging - jar, Java Version - 8, Package - 알맞게 설정하여 Next 눌러줍니다.
Developer Tools, Web 탭에서 Spring Boot DevTools, Spring Web을 선택하고 Finish 해줍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된걸 볼 수 있습니다.
파란 상자 안에 있는 static, templates가 공유되는 폴더입니다.
application.properties는 JSP에서 web.xml, context.xml, server.xml의 모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초록색 상자 안에 들어있는 pom.xml은 라이브러리들을 관리하는 파일입니다.
설정들이 제대로 설정됐는지 보기 위해 빨간 상자에 있는 ExampleApplication.java를 더블클릭해줍니다.
CTRL + F11 눌러 실행시켜줍니다.
Java Application으로 실행시켜주세요.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콘솔창에 이렇게 뜹니다.
포트번호와 시작됨을 알 수 있습니다.
혹시 포트번호를 바꾸고 싶다면
application.properties에서 바꿔줍니다.
server.port=포트번호
설정이 잘 되었나 확인해봅니다.
웹브라우저를 켜 검색창에 localhost:포트번호를 치고 enter 눌러줍니다.
따로 한 것이 없기때문에 이렇게 뜬다면 잘 된겁니다.
여기서 404에러가 뜬 것을 볼 수 있는데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
HTTP 상태 코드 - HTTP | MDN
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특정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알려줍니다. 응답은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정보를 제공하는 응답, 성공적인 응답, 리다이렉트, 클라이언트 에러, 그리고
developer.mozilla.org
여기에서 상태코드에 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간략하게 정리하면
10X - 서버가 바쁘니 기다려라
20X - 정상
30X - 리다이렉션(재요청)
40X - 클라이언트(사용자) 잘못
50X - 서버 잘못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개발을 하다보면 외부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 일이 생깁니다.
Maven Repository 에서 다운받아서 쓰실 수 있습니다.
'웹개발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시작하기 (RestController / GetMapping) (0) | 2021.06.22 |
---|---|
STS툴 테마 및 폰트 바꾸기 (0) | 2021.06.22 |
STS 툴 환경설정하기 (0) | 2021.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