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를 눌러 연결한 세션을 만들어줍니다. 암호를 입력하고 열기를 해주세요.
쿼리문을 작성해줍니다.
CREATE USER '이름' 접근을 허용할 IP (@-모든IP허용) IDENTIFIED BY 'DB비밀번호'
GRANT-> 권한을 주는 것 / ALL PRIVILEGES ON *.* -> 모든 권한을 *로 설정하면서 다 줌 / TO 'study'에게 다 줌
studydb라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음
한줄씩 클릭해서 현재쿼리를 실행시켜줍니다.
STS툴로 돌아와 새로운 Spring Starter Project를 생성해줍니다.
의존성을 추가해줍니다.
pom.xml에 가서 외부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줍니다.
jasper와 jstl을 추가해줍니다.
application.properties의 확장자를 yml로 바꿔주고 코드를 입력합니다.
yml은 현존하는 중간계 언어 중 가장 가벼운 언어입니다.
빨간 상자에 있는 코드는 ViewResolver 설정을 해주는 것이고
파란 상자에 있는 코드는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해주는 것 입니다.
편리성을 위해서 com.study.dbapp 패키지 안에 domain이라는 이름의 패키지를 생성합니다.
domain 여러개가 모여 서비스가 나옵니다.
또 그 안에 post와 user 라는 이름의 패키지를 생성해줍니다.
각 패키지 안에 java class 생성도 해줍니다.
이제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을 생성해봅시다.
User class에 테이블에 @Entity annotation을 붙여 테이블과 자바 class가 매핑되도록 합니다.
@Id는 int타입으로 선언한 id 변수를 기본키로 설정해주는 annotation입니다.
class를 저장하고 서버를 실행시켜준 뒤 데이터베이스에 가서 새로고침을 해주면
테이블이 잘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d가 기본키로 설정된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개발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데이터 활용하기 - save, select (0) | 2021.06.29 |
---|---|
EL 표현식 (0) | 2021.06.27 |
Tomcat 메모리 (0) | 2021.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