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개발/Springboot

객체지향 모델링에서 접근제어자 private을 쓰는 이유

by HoPpangg 2021. 6. 24.
SMALL

객체지향 모델링을 하기위해선 모델 클래스를 생성해서 필요한 변수들을 생성해주고 다른 기능을 하는 외부 클래스에서 모델 클래스에 있는 변수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객체지향 모델링을 한다면 변수의 접근제어자를 private으로하여 직접접근을 막고 Getter/Setter 메서드를 생성해서 메서드를 통해 접근하도록 코딩합니다.

객체지향(object지향)에서 상태는 행위를 통해서 변경해야 합니다.

private 접근제어자를 사용하면 Getter/Setter메서드(행위)를 통해 변수의 값(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오브젝트 : 메모리에 아직 뜨지 않은 것 / 메모리에 올라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모든 것

      ex>사자는 오브젝트, 동물은 X

인스턴스 : 메모리에 뜬 것 /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메서드 재현해주는 것

행위 : 사람이 함수로 호출하는 것

모든 오브젝트는 상태와 행위를 들고 있습니다. 행위(메서드)가 없다는 것은 자판기에 버튼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한 곳에서 자동차를 다 만들고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아니라, 엔진, 바퀴, 모터 등 부품들이 여기저기 모여서 합쳐져 자동차가 만들어지고 올바른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결론>

객체지향 모델링에서 접근제어자를 private을 쓰는 이유는 상태를 통해 행위를 변경하기 위함(직접 접근을 막을 수 있음 -> 보안성이 높아짐)입니다.

 

728x90
LIST

'웹개발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ewResolver - @Controller  (0) 2021.06.24
IoC 컨테이너  (0) 2021.06.24
HTTP 메서드 - PUT  (0) 2021.06.24

댓글